- S펜 태블릿 시리즈 -
목차
(출시일: 2012년 8월 16일)
(출시일: 2013년 4월 19일)
- 3. 세 번째 S펜 태블릿, 갤럭시 노트10.1 2014에디션
(출시일:2013년 10월 31일)
4화. 네 번째 S펜 태블릿, 갤럭시 노트 PRO 12.2
갤럭시 노트 PRO 12.2
(출시일:2014년 1월 22일)
갤럭시 노트 프로 12.2는 2014년 1월에 출시한 플래그쉽 S펜 태블릿입니다. 3개월 전에 출시한 갤럭시 노트 10.1 2014 에디션의 후속작이자 형제모델로 둘의 스펙은 거의 같고 화면크기 및 소소한 차이 정도가 있습니다. 성능은 당시 최고 스펙인 스냅드래곤 800, 3GB 램, WQXGA(2560 x 1600) LCD를 사용하였고, 당시 갤럭시 태블릿 중 가장 큰 기기이자 태블릿 노트 시리즈의 마지막 제품입니다. 이후 플래그쉽 S펜 태블릿은 갤럭시탭S3부터 펜을 수납하지 않고 S펜 기능을 추가해 출시했고 보급형은 수납형으로 갤럭시탭A with s-pen이라는 이름으로 출시하게 됩니다.
갤럭시 노트 PRO 12.2 스펙
프로세서 | LTE: 퀄컴 스냅드래곤 800 (MP4 2.27GHz) / Wi-Fi: 삼성 엑시노스 5420 (MP4 1.9GHz + MP4 1.3GHz) |
메모리 | 3GB |
용량 | 32GB (micro SD카드 64GB 공식 지원) |
디스플레이 | 12.2인치 WQXGA(2560 x 1600) RG-BW 펜타일 서브픽셀 방식 LCD(248ppi) |
카메라 | 전면 200만, 후면 800만 (LED플래시) |
배터리 | Li-lon 9500mAh |
운영체제 | 안드로이드 4.4 킷캣 -> 5.0롤리팝 |
규격 | 204 x 295.6 x 7.95 mm, 750g (Wi-Fi 모델) 753g(LTE모델) |
필압 | 1024 필압 |
갤럭시 노트 PRO 12.2, 2025년 분석기
갤럭시노트10.1 2014 에디션과 스펙이 같기에 구입하지 않고 분석만 해봤습니다.
1. 디자인: 204 x 295.6 x 7.95 mm, 750g
구형 태블릿의 모습으로 갤럭시 노트10.1 2014 에디션에서 크기가 커진 모습입니다. 거기에 메뉴키가 멀티태스킹키로 갤럭시 최초로 바뀌었으며 충전단자 USB3.0에 뒤판은 노트10.1 2014 에디션의 가죽 질감 플라스틱에 코팅이 더해진 느낌이라고 합니다. 2025년에 보기에는 되게 예스러운 디자인입니다.
2. 운영체제: 안드로이드 4.4 킷캣 -> 5.0 롤리팝
현시점 대부분의 어플의 지원이 끊겨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유튜브, 카톡도 안되고 넷플릭스는 광고형이 아닌 상태에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인터넷은 크롬으로 어느 정도 사용이 되고 크롬으로 유튜브를 볼 수 있습니다.
2025년에 사용하기에는 제한적인 게 많은 오래된 운영체제입니다.
3. 성능: 스냅드래곤 800 /3GB 램
당시 플래그쉽 스마트폰인 갤럭시 노트3와 같은 최고 스펙을 달았습니다. 현재 쓰기에는 기본적인 사용(인터넷 서핑, 동영상 감상, 캐주얼 게임) 정도만 가능하고 속도도 빠르진 않지만 적당히 쓸만합니다.
4. 디스플레이: 12.2인치 WQXGA(2560 x 1600) RG-BW 펜타일 LCD(248ppi)
화면크기나 해상도는 지금도 괜찮은 편입니다. 그러나 펜타일 디스플레이 특성상 자글자글 거리는 게 보인다는 평이 있습니다. 품질은 그냥저냥 적당한 수준인 것 같습니다.
5. S펜: 1024 필압
최신기능은 없고 필압이나 팜 리젝션등은 잘 작동하여 간단하게 필기, 스케치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6. 기타(카메라, 배터리, 스피커)
- 카메라: 후면 800만 / 전면 200만으로 그냥 기록용으로 잘 찍힌다고 보면 되고 플래시도 있습니다.
- 배터리는 9,500mAh로 옛날 기기라 최신 태블릿들보다 용량 대비 오래가지 않고 충전시간은 10W 충전이라 엄청 오래 걸립니다.
- 스피커는 스테레오 스피커로 그 당시 평으로는 괜찮은 편이라고 합니다.
- 최근 사용 리뷰를 보면 배터리가 노후로 불안정하여 화면이 깜빡이는 경우와 세월이 흘러 뒤판이 끈적거리는 경우가 있다고 합니다.
7. 갤럭시 노트10.1 2014 에디션과 차이점
노트10.1 2014 에디션과 거의 동일한 스펙이고 차이점은 화면크기와 배터리크기, 메뉴키가 멀티태스킹키로 변경, 충전단자 USB3.0으로 변경과 위치 변경, 멀티윈도우 4분할기능, OS 한 단계 높음 정도의 차이가 있습니다.
총정리: 2025년에 사용하기엔 OS가 오래돼서 어플 지원이 끊겨 어플 사용이 불가능하고 크롬으로 인터넷과 유튜브를 할 수 있는 정도입니다. OS를 커스텀 펌웨어로 올린다면 기본적인 사용(인터넷, 동영상 감상, 캐주얼게임)은 가능합니다. 물론 옛날 기기라 속도도 빠르지 않고 비공식 OS이기에 안 되는 기능과 어플, 버그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태블릿 자체는 12인치 대화면에 괜찮은 해상도, 연식 대비 괜찮은 성능을 가진 S펜 태블릿입니다.
2025년 중고가: 4~8
가성비 점수: 4점(10점 만점), 화면크기가 크고 S펜 사용이란 장점이 있지만 그것 말고는 OS작업을 해줘야 하고 비슷한 시기 S펜 태블릿들이 헐값이라서 현시점에 중고 가성비가 좋은 편은 아닙니다.
총평: 5점(10점 만점), OS를 업그레이드한다면 기본적인 사용은 가능한 12.2인치 S펜 태블릿
'IT > S-pen 태블릿 시리즈' 카테고리의 다른 글
[S펜 태블릿 시리즈] 6. 보급형 S펜 태블릿의 정석. 갤럭시 탭 A6 10.1 with S Pen (0) | 2025.05.05 |
---|---|
[S펜 태블릿 시리즈] 5. 다섯 번째 S펜 태블릿, 갤럭시 탭 A 9.7 with S Pen (1) | 2025.02.09 |
[S펜 태블릿 시리즈] 3. 세 번째 S펜 태블릿. 갤럭시 노트10.1 2014에디션 (1) | 2022.08.31 |
[S펜 태블릿 시리즈] 2. 두 번째 S펜 태블릿, 갤럭시 노트8.0 (0) | 2022.07.28 |
[S-pen 태블릿 시리즈] 1. 최초의 S-Pen 태블릿 "갤럭시 노트10.1" (0) | 2022.06.01 |
댓글